2019 사관1차 국어영역 심층분석
안녕하세요!
오르비클래스 국어영역 강사, 신한종입니다.
사관학교 1차시험에 응시한 “진성 지원자”들께,
진심으로 고생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들의 간절한 꿈이 꼭 이루어지길 끝까지 기원하겠습니다.
2019학년도 사관1차 국어영역 난이도는
지난 2018 사관학교 1차시험보다는 쉽고,
2017 사관학교 1차시험보다는 어려웠습니다.
때문에, 합격자 평균점수대를 80점대 중후반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화법&작문&문법]
화법과 작문은 대체로 무난한 난이도였습니다.
광릉한샘기숙학원 사관학교 진학연구소 표본조사에 따르면,
1~10번 문항의 정답률은 70~90%대를 기록했습니다.
구 분 |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 6번 | 7번 | 8번 | 9번 | 10번 |
정답률 | 81% | 93% | 91% | 92% | 90% | 83% | 76% | 90% | 83% | 92%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다음은 문법영역입니다.
먼저,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의 감탄문을 제재로 한 설명문 문항들은 대체로 평이했습니다.
아무래도 감탄문과 중세국어, 높임법 등 많은 내용을 짧은 지문에 담아내다 보니, 깊이가 없고 정보만 열거되는 지문구성에 그쳤고, 문항도 단순 내용일치형에 그쳐 변별력이 높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문법 13번과 14번은 총점 200점이상자를 대상으로 한 정답률 파악임에도 불구하고 50% 미만의 정답률을 기록할 만큼, 상당히 까다롭게 출제되었습니다.
13번 문항은 평소 생략된 성분이 없는 동격관형절에 대한 개념, 종결어미가 있는 관형절과 없는 관형절에 대한 개념을 숙지하지 않았다면 어려웠을 것입니다.
특히, 14번 음운변동은 반모음에 대한 개념이 핵심적이었습니다. 반모음 첨가, 반모음으로의 교체, 축약 등에 대한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어야 정답을 고를 수 있었습니다.
아울러 15번은 예상을 깨고, 지난해에 출제했던 상대시제, 절대시제에 대한 문항을 다시 출제했습니다. 작년 기출문항과 유사한 만큼, 기출학습을 꼼꼼하게 하셨다면 무리 없이 풀 수 있었을 것입니다.
구 분 | 11번 | 12번 | 13번 | 14번 | 15번 |
정답률 | 91% | 82% | 40% | 49% | 70%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현대소설, 박완서 ‘이별의 김포공항’]
사관학교 1차시험에서 보여주던 “유명한 작가의 낯선 작품” 패턴을 보여준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접해본 학생들이 많지 않았겠지만,
내용이 어렵지 않았으며,
[보기]를 통해 독해의 방향성을 세운 후, 지문을 읽었다면 무난했을 것입니다.
‘노파’의 시각을 중심으로 한 ‘제한적 전지적작가 시점’을 파악하는 개념 문항, 구절의 의미파악 문항과 [보기] 문항, 모두 90% 정도의 정답률을 기록했습니다.
구 분 | 16번 | 17번 | 18번 |
정답률 | 89% | 91% | 92%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비문학 과학기술 ‘인공과학시스템’]
식물의 광합성 시스템을 모방한 ‘인공 광합성 기술’을 제재로 한 지문을 출제했습니다.
식물의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과정(FLOW)와 수소를 생성하는 인공광합성 시스템의 과정(FLOW)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지문으로 정보량은 많은 편이나, 문항들은 평이했습니다.
19, 21번 모두 내용일치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정보의 위치가 명확한 선지들로 구성되어 정답률이 높았습니다.
그러나 20번은 가장 정보량이 많은 2단락(식물의 광합성 시스템)과 3단락(인공 광합성 기술)에서 정보를 구분하여 파악해야 하는 문항이어서 정확도가 다소 낮았습니다.
22번 추론 문항도 난이도는 낮은 편이었습니다.
구 분 | 19번 | 20번 | 21번 | 22번 |
정답률 | 89% | 91% | 92% | 92%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고전소설, 조성기 ‘창선감의록’]
유명한 가정소설인 ‘창선감의록’이 고전소설 지문으로 출제되었습니다. 평소 사관학교 출제경향과 달리 유명한 소설을 출제했으나, 역대 기출이나 EBS에서 발췌하지 않았던 부분을 출제하여 지문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가정소설 지문을 충분히 접해본 학생이라면 독해가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보기]를 먼저 읽어보았다면 선악구도 파악을 중심으로 독해를 해야겠다는 방향성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간 사관학교 기출에서 여러 차례 선보였던 전체 스토리 구성에 맞춰 ‘인물의 말과 행동’의 의미를 해석하는 문항이 정답률 68%를 기록한 것 외에는 대체적으로 아주 평이했습니다.
구 분 | 23번 | 24번 | 25번 | 26번 |
정답률 | 68% | 87% | 91% | 83%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비문학 경제 ‘비용편익분석’]
광릉한샘기숙학원 수강생들과 오르비클래스 사관패키지 수강생들께 제공한 경제 파이널 12지문 기출분석 자료에 수록된 ‘2008 수능 경제지문’과 상당히 유사한 지문이 출제되었습니다.
사관학교는 사회지문에서 경제지문을 출제한 비중이 상당히 높았고,
올해도 역시 경제지문을 출제하였습니다.
28번 문항은 63%의 정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 문항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순현재가치 기준’ 우선순위와 ‘편익-비용비 기준’ 우선순위를 파악해야 했습니다. 또한 가용예산(2,000)까지 고려했을 때, ‘순현재가치 기준’ 가장 우선순위인 D(비용 1,000)를 건설하고 이어 ‘순현재가치 기준’ 차순위인 B(비용 400), 차차순위인 A(비용 250)까지 건설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어야 정답을 고를 수 있었습니다.
29번 문항은 현재가치(할인율) 공식을 활용한 추론 문항, 30번은 그래프 해석문항이었습니다.
30번은 그래프 해석을 바탕으로 “비용이 동일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편익-비용비를 도출할 수 있어야 정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구 분 | 27번 | 28번 | 29번 | 30번 | 31번 |
정답률 | 86% | 63% | 65% | 58% | 74%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현대시+현대수필 갈래복합 지문]
전통적으로 사관학교 1차시험에 자주 등장했던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출제되었습니다.
이용악의 ‘천치의 강아’를 다룬 34번 문항은 [보기]를 바탕으로 시를 해석한다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었습니다. 3연의 ‘전통’이 ‘은혜롭지 못한 향연’과 동격으로 서술되었다는 점을 바탕으로, 이를 [보기]에 주어진 우리의 아픈 역사와 연결하면 정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서정주의 ‘풀리는 한강가에서’도 ‘강’이 부정적 상황을 견디는 화자에게 주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정답은 쉽게 도출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 외, 개념과 수필 해석 문항도 난이도가 높지는 않았습니다.
구 분 | 32번 | 33번 | 34번 | 35번 | 36번 |
정답률 | 89% | 93% | 76% | 88% | 75%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비문학 인문 ‘성리학에 대한 회의와 비판’]
구 분 | 37번 | 38번 | 39번 | 40번 | 41번 |
정답률 | 57% | 88% | 54% | 69% | 92%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이 지문에서 정답률이 가장 낮았던 39번 문항은 [보기]에서 주어진 샤르트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 학자들’을 비판하라는 문항이었습니다. 샤르트르가 “‘본질’과 ‘현상’이라는 이원론적 틀에서 벗어났다”는 [보기]의 핵심적 정보를 먼저 파악하고, 이를 이기론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조선후기 학자들’의 한계와 연결하면 바로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런 문항은 선지 하나 하나를 소거하기보다, [보기]와 지문 해당부분의 핵심적 내용을 파악하고 ‘가장 적절한 선지’를 찾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정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37번은 정답률이 낮았으나, 시간부족에 따른 정답률 하락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 같습니다. 내용일치 문항으로 정확한 근거를 찾지는 못하더라도, 가장 확실한 답을 고르는 것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40번 문항도 ‘둥근 모양으로 서 있는 모래 덩어리’를 “질료가 완성적인 것으로 실현된 상태”가 된 것으로 파악할 수만 있다면 어렵지 않게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고전시가 지문]
정훈의 ‘탄궁가’와 이황 ‘도산십이곡’이 출제되었습니다. 지난 해 ‘누항사’보다는 쉽게 출제되었으나, 45번 문항은 사관학교 특유의 “디테일한 고전시가 구절 해석” 문항이 출제되어 이번 시험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기록했습니다.
<제3곡>에서 말한 ‘거즛말이’와 ‘올흔 말이’가 모두 인간의 순수한 본성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제시하고 있어 ‘차이’가 없는 표현입니다. 아울러, '거즛말=순풍이 죽었다‘, '올흔 말=인성이 어질다'로 국한하여 의미파악을 하더라도 '사시가흥’이 ‘사람과 한가지’라는 <제6곡>의 내용과 동일한 차원의 인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보기]에서 제시한 자연에 깃든 이치와 인간의 본성을 인식하는 부분은 인간의 순수한 본성을 이야기하는 의 인식과 같은 깨달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 분 | 42번 | 43번 | 44번 | 45번 |
정답률 | 91% | 57% | 89% | 41% |
[광릉한샘 사관학교진학연구소 총점 200점 이상자 가채점 결과 Base(1,300명)]
0 XDK (+100)
-
100
-
저도 갈거같아요 못갈수도있어요 근데 가능성이 높아졌어요
-
근데 아직도 많이 입으시던데
-
적당한 속도와 적당한 거리의 연애를 권장 최대한 많은 사람 만나고 싶다면 ㄱㅊ
-
어허
-
진지하게 이거때문에 어찌할지 고민중입니다..
-
레전드사건발생!!! 학교 다닐때도 2월 14일은 없는 날이였는걸.. 학원을 안다녔응께 사건이 읎네
-
독서 지문 실력 1
강기분 행정 규제 지문 12분 걸려서 다 맞았는데 독서 실력 어느 정도라고 할 수...
-
줄거같나요..
-
개인적으로도 효과를 봤지만 만약 임상효과가 있다면 왜 전 세계덕으로 안 쓰는 거임?
-
거창한거필요없고온갖더러운일이라도할수있으니까돈이1순위임
-
1테라도 부족함
-
힘들게 번 돈으로 야식으로 치킨 먹기
-
걍 자아실현의 일종으로 갖고 싶은거임 그러다보니 약간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는거 같음
-
진짜 공부 하기 싫다...
-
뭐지 했는데 알고보니 세화고 잠바였음 앞에 S가 가방끈에 가려져 있었음 글고 다시...
-
1월 4일 기준으로 오늘까지 한 거 정리 인생에서 제일 열심히 살았는데 진짜 한게...
-
매월승리 0
주에 두 번 가는 국어학원 다니고 있고 동시에 독서 김승리 올오카 듣고 문학은...
-
상위권 대학에서 추합 많이 도는데 그 밑에 안도는건 1
왜 그러는 건가요?? 게다가 상위권 대학에서는 펑크도 많이 났다고 했는데 그 밑은 많이 폭나고
-
주면 내가 진심으로 대학합격응원해줄게
-
300제로 부족함 전개년 두번씩 볼 가치가 있음 ㄹㅇ
-
세상에 미소년 미소녀 존나 많네 ㅅㅂ
-
폭으로 대학가는 애들 보면 너무 배아프다
-
국수 표점 순서대로 128,141 등급 2,1 탐구 표점 평균 62.5 등급 2,3...
-
시간 고만 유기하고 한 문제만 풀어야겟다 지금잠은 못 자겟네
-
2506 48 2509 50 25수능 50 올1 정시 서울대 자연계열 25학번 진학...
-
아 ㅅㅂ 성글경 붙는다고 생각하니까 왜 한학기 다니고 반수해야할거 거 같지 1
걸고 학고반수하기엔 학점이 너무 아까운데 인과계면 몰라도 글경은 학점 잘따면 좋은데...
-
전 여친 보면서 미국 음대 학부유학이 얼마나 돈이 많이 깨지는 지 제대로 느꼈네요. 6
여친 오빠가 서울예고 졸업하고 미국 음대 학부유학으로 갔는데 돈이 장난 아니게...
-
우리 사촌오빠는 5
삼수해서 한양대 경영가서 대기업 취업하고 초미녀에 초부자에 대천사 성격인 언니랑...
-
한시에잔다 2
한시에. 잠든다.
-
정시러면 ‘꿈‘을 정하지는 말기를 걍 다맞춘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고 성적 나오면 그 뒤에 고민하시는게
-
수2는 기본적으로 n축보다 다른 정석 풀이를 의도하고 내는데 수2에서도 n축으로...
-
요즘 우제형은 솔랭에서 어떤챔을 쓰는가 이거임 그냥 그래서 요즘 나까지 최우제 솔랭...
-
ㅈㄱㄴ 서강대 경제학과 등록금만 알려주셈
-
기하 팁 드림 4
그림 크게 그리고, 그림 째려보셈
-
현우햄은 따나
-
여자만나고싶다 6
사귀고싶은걸떠나서그냥만나라도보고싶다씨발 20대청춘다날라가네
-
노베 자퇴생 미적분 시작하는데 응원 좀요 ㅜㅜㅜㅜㅜ 6
수학공부 미련하게하다가 오르비에서 칼럼 여러개 찾아 읽어가면서 지금까지 얼마나 공부...
-
아 씨발 내 책 그냥복습용으로써야하나
-
돈 많이 벌어서 결혼하면 걍 하고 싶은 거 하게 냅두고 내가 돈 벌어오고 싶음 나만...
-
글 읽어봤을 때는 훌리가 아니라 꽤 논리적이고 믿을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충격이네…
-
그냥 대충 궁금합니다 보통 상위권들한테 호평이 많은거같아요
-
알빠노 어짜피 수의대 가고 싶은데 왜냐면 거기에 수의대가 있으니까
-
언매 아니고 화작인데 가능하려나요 올해 수능 백분위 98 내신때 언매하긴했는데...
-
요즘은 다 할줄 알겟지? 극값찾는거나 불연속이나
-
숙향전 말구요!
-
여사친들은졸업반 나는수험판 죽자그냥
-
작수 쌍윤 둘 다 3 나왔습니다 6,9에서는 2-3 왔다갔다 했어요 예전 기출들...
갓한종!!!!ㅎ
첫댓 감사합니다~~^^* 샘~~~
풀면서 28번 많이 틀릴꺼라고 생각했는데 ㅋㅋ 29번은 진짜 핵심인데 아쉽네요
고생많으셨습니다!! ^^
쿨럭 과외질하는 강사인데요
앗... 선생님이셨군요 ^^;;;
선생님 전체 정답률은 더 낮다고 볼 수 있나요??
네, 그렇습니다. 더 낮습니다.
수능대비용으로 사관풀고 선생님 분석보는데 아으 45번 너무어렵네요;;
해당내용보고 어떻게 차이없이 인간본성을 판단한다고 생각해야할지 ㅠㅜ
2번보기 3번보기를 전혀 이해못하겟슴다
어려웠던 문제입니다. '순풍이 죽다 하니 진실로 거즛말이'라는 구절의 의미는 아직 '순박한 풍속'이 살아있다는 뜻입니다.
아울러, '인성이 어지다 하니 진실로 올흔 말이'라는 구절의 의미는 인성이 어질다는 것은 진실로 옳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제3곡의 초장과 중장은 인간이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사관학교 1차시험에서는 교과서에 다수 수록된 고전시가를 출제할 경우, 이 정도의 디테일한 해석을 요구합니다. 사관1차의 특성으로 보시면 될 듯 싶네요.
'거즛말=순풍이 죽었다'과 '올흔 말=인성이 어질다'를 반대되는 의미로 해석하더라도 '사시가흥'이 '사람과 한가지'라는 자연에 깃든 인간의 본성을 인식하는 구절과 같은 차원의 깨달음으로 판단할 수 있답니다.
제3곡의 해석입니다. 참고하세요!
예로부터 전해오는 순박한 풍속이 다 사라져 없어졌다고 하는 것은 참으로 거짓말이로다.
인간의 성품이 본래부터 어질다고 하는 말은 참으로 옳은 말이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내려오는 순박한 풍속이 다 없어졌다는 말로써) 이 세상의 많은 슬기로운 사람들을 어찌 속일 수가 있겠느냐.
자세한 해설 감사합니다
정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ㅎㅎ
여러분 국신T 강의듣고 이번사관국어 93점ㅍ나왔습니다!
앗! air포스~~ 진짜 축하해~~ 때려부수고 올 줄 알았어~!! 진짜 축하~~~^^
ㅎㅎㅎ 제가혹시 최종합격의 기쁨을 누리게된다면 뵈러가도 되겠습니까 ㅎㅎㅎ 영광을 나누고 싶습니다!!
당연히 최종합격해야지! 그리고, 언제든 놀러오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