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2칼럼][26부탁] 4. 열역학 법칙(1) (부제: 와! 열역학!)
솔직히 뭘 써야 될 지 몰라서 미룬 것도....아닙니다
일단 물리2에서 나오는 열역학 정량 계산은 모두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입니다.
그 때문에 있던 일이 있죠.
중복정답 문제가 되었습니다 엌
이 문제 이후로, 열역학 문제에서는 '단원자 분자'라는 말을 반드시 쓰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귀찮아서 서술의 편의를 위해, 단원자 분자 이상 기체를 그냥 기체라고 하겠습니다.
에빱이는 프롤로그로 날먹을 하려 하고 있.....
제대로 시작해봅시다.
다만, 이번 칼럼은 날먹이라
기체를 분석할 때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과 기체의 내부 에너지를 찾아야 하고, 그를 위해서는 당연하지만 기체에 작용하는 힘(또는 압력)과 기체의 부피를 분석해야 합니다.
압력은 F/A로 구해 주시고, 부피 구하는 거는....설명 귀찮습...읍읍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단원자 분자!) 3/2*nRT=3/2*PV, 기체 분자 하나의 평균 운동에너지는 3/2*kT 임을 알고 시작합시다. PV=nRT는 더더욱 기본!
18학년도 6평입니다. (오답률 이투스 기준 76%, ebsi 기준 72.3%)
이투스가 또 졌어!
실은 내부 에너지를 구하는 것 보다, 역학 관계가 어려운 탓이기도 합니다.
먼저, A의 무게가 F인데 수평면이 미는 힘이 F/4이면, 3F/4의 연직 윗 방향의 힘이 필요하고, 이것이 탄성력이 될 것입니다.
문제는 저 용수철이 피스톤을 미느냐, 당기느냐인데, 탄성력이 변위의 반대 방향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용수철의 양 끝에서의 탄성력의 방향은 반대가 되어야 하니. 용수철은 피스톤을 아래로 당깁니다.
그렇다면 (대기압이 피스톤을 미는 힘)=(기체가 피스톤을 미는 힘)+(용수철의 탄성력),
그런데 (압력)*(부피)=(피스톤을 미는 힘)*(기체의 높이) 인 것을 잘 생각하면, 3/2*PV=2FL이니.
기체가 피스톤을 미는 힘은 4F/3이군요.
그렇다면 대기압이 피스톤을 미는 힘은 25F/12.
(나)도 마찬가지로 하면, 용수철은 피스톤을 연직 위로 2F/3의 크기의 힘으로 밀고 있으니,
(대기압이 피스톤을 미는 힘)=(기체가 피스톤을 미는 힘)+(용수철의 탄성력)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그러면
(기체가 피스톤을 미는 힘)=17F/12가 됩니다.
실은 이 시점에서 답이 보이기는 하지만, 정확히 계산을 해 보자 하면, (압력)*(부피)=(피스톤을 미는 힘)*(기체의 높이)에서, 이 PV=17FL/9, 내부 에너지는 여기에 3/2를 곱하면 되니 답은 4번!
(압력)*(부피)=(피스톤을 미는 힘)*(기체의 높이)임을 잘 써 봅시다!
열역학 법칙은 언제나 Q=ΔU+W입니다. 여기서, 물1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다루지 않고, 기체의 내부 에너지도 다루지 않기 때문에, 정성적인 문제로 학생들의 뚝배기를 깨는 평가를 하지만, 물2는 정량적인 계산이 들어갑니다.
다만, 미적분 계산을 지양하기 때문에, 일단 등온과정도 정성적으로만 다룹니다. (ln 들어가거든요)
열역학 과정을 볼 때는, 먼저 ΔU는 (나중 기체의 내부 에너지)-(처음 기체의 내부 에너지)만으로 계산합시다.
이 때, 절대 온도가 주어져 있으면 3/2*nR*ΔT로 구하는 센스를!
16 수능입니다. '그' 수능이요.(오답률 메가 기준 33%, ebsi 기준 47.4%)
이투스가 일을 안해서...읍읍
아까 전 문제처럼, 장력을 따져 보면, 처음 장력은 mg/2, 나중 장력은 mg/4가 되겠군요.
(대기압이 미는 힘)=(기체가 미는 힘)+(장력)인데,
힘이 필요하니, 임시로 단면적 S를 붙입시다.
처음엔 PS=0.5PS+mg/2이니, PS=mg,
나중에 (기체가 미는 힘)=(대기랍이 미는 힘)-(장력)이니, 기체가 미는 힘은 3mg/4이므로, 압력은 3P/4가 되겠군요.
부피가 일정하니, 가한 열은 내부 에너지 증가량과 같고, 따라서 3/2*(3P/4-P/2)V로 계산하면 답은 3번!
2019 수능입니다.( 이투스 기준 오답률 42%, ebsi 기준 오답률 39.5%)
ㄱ은 힘의 평형에 의해서 맞고, 이 문제의 핵심은 ㄴ입니다.
압력이 같으므로, 이 세 공간을 한 덩어리로 본다면, 기체의 부피는 V로 일정하니, 가한 열은 모두 기체의 내부에너지를 증가시키는데 쓰이고, 가한 열이 좌우로 Q, 총 열이 2Q이므로, ㄴ은 참!
ㄷ은 열을 역으로 압력 변화를 통해 봐야겠군요.
열을 가하기 전 한 덩어리의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3/2*P_1*V이고,
열을 가한 후의 한 덩어리의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3/2*P_2*V이니,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2Q인데서, 3/2*(P_2-P_1)V=2Q,
ㄷ은 4Q/3V가 되어야 하니, 거짓!
가한 열이 2Q임에만 유의하고, 열역학 법칙을 잘 적용한다면 간단한 문제입니다. 물2 현장 50점이었다면 이거 다른 사람이 제발 실수하길 빌었을 문제입니다.
이제 기체를 분리해서 봅시다.
2014 수능입니다. (메가 기준 오답률 39%, ebsi 기준 49%)
대놓고 등압 팽창이란 말을 쓰는데, A는 압력이 일정하고 부피가 1.5배가 되었으니, 기체의 절대 온도는 1.5배가 되어 1.5T가 되겠는데, 금속판 때문에 B도 절대 온도가 1.5T가 되겠군요. 그러니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은 3/2*R(1.5T-T)*2=1.5RT, (마지막의 2는 A와 B의 내부 에너지의 변화가 같으니!)
기체가 한 일은 PΔV=0.5PV인데, PV=RT이니, 기체가 한 일은 0.5RT,
가한 열은 1.5RT+0.5RT=2RT이니, 답은 2번!
이 정도는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변화가 단순한 편이지만, 용수철의 등장으로, 열역학이 꽤나 골치아파졌습니다.
15학년도 9평입니다. (메가 기준 오답률 55%, ebsi 기준 오답률 57.6%)
용수철 열역학 문제는 탄성력, 탄성 퍼텐셜 에너지를 함께 따지는 것이 꽤나 골치아픈 풀이가 나옵니다.(저같은 노베는 abc부터도 모릅니다)
용수철은 가하는 힘을 일차함수로 변화시키므로, 등가속도 직선 운동의 평균 속력처럼 평균 압력을 이용해서 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체가 한 일이 모두 용수철의 탄성 퍼텐셜 에너지로 전환되므로, 탄성력이 2배가 된 것에서, 탄성 퍼텐셜 에너지는 4배, 즉 4Q가 되었으므로, 기체가 한 일은 3Q, 평균 압력이 1.5P이므로, 기체가 한 일은 1.5P(V_A-V_0)=3Q,
나머지 12Q를 내부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데 써야겠네요.
그런데, 3/2*nRT로 표현하는 것은 무리인 것 같으니, PV로 표현하면, 3/2*(2P*V_A-P*V_0)=12Q,
이 둘을 연립하면 답은 4번!
이 문제는 단순 연립으로 풀리지만, 이제 용수철의 길이도 계산에 넣어야 하는 상황이 오고 있습니다.
19학년도 6평입니다. (오답률 이투스 기준 72%, ebsi 기준 72.8%)
이제는 힘의 평형과 내부 에너지를 동시에 연립해야 합니다.
먼저 기체가 한 일은 3E가 분명하고, (나)에서 B의 압력은 (가)에서의 2배네요.
처음 압력을 P라고 두는 데, 부피 변화가 불분명하므로, 기체의 폭과, 용수철의 변화된 길이로 추적해야겠군요.
단면적을 S, (가)에서 B의 폭을 L, (가)에서 용수철의 변화된 길이를 x라 하면, (나)에서 용수철의 변화된 길이는 2x,
힘의 평형에서 PS=kx,
내부 에너지에서 1.5PSL=3E, PSL=2E네요.
그런데 1/2*kx^2=E이니, L=x, 기체의 처음 폭은 x, 나중 폭은 x+x=2x이니, 기체의 부피는 2배군요!
압력 2배, 부피 2배이니 내부 에너지는 4배가 되고, A와 B의 내부 에너지는 금속판 때문에 같으니,
A의 내부 에너지 변화는 (12-3)E=9E,
B의 내부 에너지 변화도 9E이니,
Q=9E+9E+3E=21E, 답은 4번!
아직은 그렇다 할 문제를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문제는 다음주에...크흠
자작 문제도 매우 쉬운 하나 뿐입니다 ㅠ (2천덕)
18학년도 6평에서, 기체가 한 일을 구하시오.
풀렸습니다!
다음 칼럼은 자작 문제도 많을 겁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처럼 국어 첫 지문부터 15분 써서 멘탈 나가면 안 됨 영어 때부터 울면서 풀었음...
-
갑자기 우울해지지
-
ㅋㅋ뭐지 남친이 술먹는다는네 저건 여자손아님?
-
혼자서 메이드 카페 가봄 소개 받은 사람한테 하루만에 까여봄 중1때 장난식으로 사귄거 빼면 모솔임
-
정시 좆됐다 0
한밭대 다군 인문사회경상 경쟁률 20:1 났는데 이거 ㅈ된거 ??
-
금테와 맞팔 2
귀하다 귀해 팔로우 갑시다
-
자존심만 쎄고 지가 왕인줄아는 30대 선생님께서 수1,2 생기부 제가 봐도...
-
저는 순수해서 그런거 안보는데ㅠㅠ 혹시 보는 사람이 있을까봐 덜덜 떨면서 글 써 봤어요
-
선넘질 받음
-
다음
-
질문해드려요 6
친해지고 싶어요
-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
-
한 달 전까지만 해도 걔랑 막 끝나고 멘탈 털린 채로 수업 가고 3일 내내 잠도...
-
시대 재종 5
지금 100장이면 나중에 신청해도 100장 나오나요?
-
라군이라도 가시려면 열심히 보셔야지
-
근데 급식 자료 자취 아직은 돈이 없다..
-
갑자기약간 현타옴. 12
오르비에 마땅히 쓸만한글이 업슴,,,, 할이야기없는데 괜히 뻘소리 끄집어냄 ㄹㅇ뭐하지 이제
-
실패 후 오는 절망이 너무 두려워짐
-
서울대도 아니고 시대도 불합이 있다니... 불합없는 군대로 ㄱㄱ
-
수능까지 두 달 정도 남는데 팁 같은 거 쓰면 사람들이 보려나 다른건 몰라도 영어는 자신있는디
-
질문해드립니다 22
선탁순 열명만
-
나중선발이냐??
-
자 의반 드가자 ㅋㅋ
-
오늘 새로 알게된 사실 12
남서울대학교는 사실 서울에 없음..
-
23244 제 6모성적인데 국수 백분위는 90 82 였던거같아요 이걸로 기숙쌤이랑...
-
언매 미적 사문/지1으로 메이저 약대 뚫으려면 대략적으로 어느정도 성적대를 맞춰야 할까요??
-
아니,,, 왜 안되지 나만 안되나
-
흔한건가요?
-
심심해서 넣어봤더니…
-
이제 고3으로 올라가게 되는데 가장 최근인 10모 성적으로는 국수영물지로...
-
특성화고 다니는 유명한 일진인 애가 3년내내 공부 안하다가(아주 소문난 ㄱ레라고했음...
-
워마같은 수능 단어장에 있는 단어들 완벽하게 외우고 기출 풀면서 나오는 모르는...
-
감사함니다 6
보내놓고 아차해서 불안했는데 덕분에 괜찮아졌어요 당사자는 고맙다고 받긴 했는데 혹시나 해서
-
20년 살았는데 수능만 2년
-
삼수만 실패해도 무너지지 않을까
-
남친있는동기한테 3
수이팅초콜렛보내는거정상?
-
안녕하십니까 여러분, 연경탈출프로젝트입니다. 영어 칼럼으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
옛날에 96 99 3 99 99 였나 받았는데 이정도면 시대 장학 얼마나 나요나요?? 그냥 궁금
-
여캐일러 투척 10
-
한달만 무료인가요 아니면 수능까지 무료인가요
-
선넘질 5
을 할테니 답변해주세요 당신은 일주일에 몇 번 변을 보십니까?
-
질문을 드려요 26
댓 ㄱㄱ
-
흑흑
-
보니까 이거 6천덕 정도면 사는데 사주실 분 심심해서 경매 드갔다가 잘못 눌렀나봐...
-
오전안에 나면 인정해줌
좋아 라고 쓰려고 했는데 손이 거짓말을 안하네요
열역학이면 ㅇㅈ
같은압력->같은 기체로 고려 가능 이거 쓰시네요
나중에 대학개념 소개하면서 같이할라그랬는데
ㅎ
이번 강대 3차도 그랬습니다
물리2! 물리2! 물리2!
역시 물2황
에빱이 얼굴 누래지게 만드는 물2 실력
문과지만 좋아요!
.
19수능 17번 이해가 안가는데 a하고 c는 압력만 같은거 맞죠? 애초에 실린더가 움직이지 않으니 걍 ㄱ맞다 체크했는데
압력만 같습니다
다만 1.5dP(V1+V2+V3)의 형태로 계산할 것을, 모든 부피의 합이 V라 그냥 1.5dP*V로 계산하는 강력한 방법을 쓸 수 있다는 거에용
아하 이해되었습니다 그래서 ㄴ이 정답이고 ㄷ이 오답이 되는군요 맨첨에 v1 v2 v3로 계산해서 헤맸었습니다
가한 열이 Q가 아니라 2Q임에 조심!
결국엔 단열된 용수철이라도 부피가 일정해서 q가 모두 일에 쓰이니
대국적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가져야겠네요
6월엔 개념떼느라 27점 나왔네요 남은기간동안 50가능하겠죠? 올해 1월 첨 시작했습니다
그 점수면 2/3단원 개념 부족이 더 클 것 같으니, 9평까지 대비한다면 2/3/4단원 비킬러 연습이 더 중요해 보입니당
열역학 과정은 주로 킬러로 나오는 탓에 바로 대비하는 거는 시기상조이긴 하지만, 열역학 과정 자체의 감을 늘리기 위해서는 물1 기출도 추천합니다
물1 기출 근근히 풀고 있습니다 내용이 동일하길래 두날개 상권은 다 끝냈구요 다만 1단원 운동법칙 부분이 젤 어렵네요
170616은 아직도 어려움 ㅠㅠ
1차원이든 2차원이든!
그래서 포물선과 충돌은 신유형빼면 쉽게 푸는상태ㅎㅎ
문돌이 놀러옴
사다리꼴 넓이 L/3*11F/8=11FL/24